[Blender 3D] 블렌더 3d 리깅 Rigify - CloudRig / #3 Cloud_IK_Chain
- FK / IK ?
FK : Forward Kinetic | 본 구조에서 부모가 움직이면 자식도 움직임 |
IK : Inverse Kinetic | 본 구조에서 자식이 움직이면 부모가 그 움직임에 맞춰 움직이는 구조 |


왼쪽 FK : 부모가 움직여 하위 자식본이 움직이는 구조 / 오른쪽 IK : 자식이 움직여 그 움직임에 부모 본이 움직이는 구조
손과 발은 어딘가 고정되어 움직일때가 많아 IK Rig를 주로 사용하고, 몸통, 머리는 FK Rig 를 주로 사용한다.
( 팔과 다리에는 FK, IK 본 두가지를 다 생성해놓고, 필요에 따라 전환하며 사용한다. )
- cloudrig를 배우기 전 유용한 단축키
- Ctrl + Tab - Object mode > Pose mode 전환
- Tab - Pose mode > Edit mode
- Shift + T - bone > generate bone ( 기존의 본 셋팅과 생성된 본 스왑 )
- Ctrl + Alt + R - Generate Rig ( 설정한 값의 리깅본 생성 )
- Shift + N - Bone axie ( 본의 축 변경 )
- Ctrl + R - Bone axie ( 본의 축을 임의로 변경 )
[Blender 3D] 블랜더 리깅 Rigify - CloudRig / #1 Cloud_Chain
CloudRig cloudrig는 blender studio에서 제공하는 rigify의 추가 버전?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블랜더 리깅을 할때 정말 유용한 정보들이 많아 공유 하려합니다. cloudrig를 활용한 리깅 SNOW cloudrig를 배
creatoryeon.tistory.com
- Cloud_IK_Chain 셋팅
Rigify Type > cloud_ik_Chain > Generate
ik 본과 fk 본이 함께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- IK : Create IK Pole
Create IK Pole 의 체크박스를 활성화 하면 IK 본의 회전 방향을 조정 할 수 있습니다.
- IK : IK At Tail
Control 옵션에서 IK At Tail 체크박스를 활성화 하면 , IK 컨트롤러가 본 끝에 생성됩니다.
- IK : World Aligned IK Master
World Aligned IK Master 을 체크하냐 안하냐에 따라 그래프를 통해 컨트롤 할때 결과값이 다르게 나옵니다.
체크하지 않으면 local 기준의 방향으로, 체크하면 world 기준의 방향으로 움직입니다.
- IK : Flatten Bone Chain
Armature > Viewport Display > Axes 를 활성화 시켜 본의 축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 한다.
Pose Mode > Bone > Rigify Type > Flatten Bone Chain
최상위 본과 최하위 본의 축은 움직이지 않으며, 중간에 있는 본들의 축이 어느정도 정렬됩니다.
여기서 어느정도 정리되는걸로는 완벽한 IK 본을 만들 수 없음으로,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.
Edit Mode 에서 본들을 모두 선택한 후 Shift +N 을 눌러 Recalculate 모드를 활성화 시켜준 후 Local +Z 또는 +X를 눌러 본의 축을 재 정렬 해줍니다.
재정렬 후 반대방향으로 뒤집혀진 본을 Ctrl + R을 눌러 180도 회전을 시켜 다시한번 정렬 시켜줍니다.
이로써 Pose Position과 Rest Position이 일치한일직선상의 완벽한 IK Bone 을 셋팅 하였습니다.
IK : FK/IK Switch
위 사진과 같이 IK 를 활용하다보면, FK와 변경을 해야 할 타이밍이 생깁니다. 그때 IK에 맞춰 FK컨트롤러를 옮기는 작업이 필요합니다. 우측 사진과 같이 FK/IK Switch 버튼의 새로고침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.
+ FK/IK Switch 의 수치가 1 일경우 IK 컨트롤러에 영향을 받고, 0 일경우 FK 컨트롤러의 영향을 받습니다.
IK : IK Stretch
IK Stretch 는 IK 본이 고무처럼 늘어나거나, 안 늘어나는지를 결정 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. 위 사진을 보시면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.
insta / creator_yeon